빅데이터분석기사, 응시자격 및 향후 전망
데이터 엔지니어가 생성한 자료를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는 빅데이터 분석기사는 빅데이터 분석 전문 국가기술자격증입니다. 시험과목과 합격기준, 미래 전망과 영향력에 대해 설명해 드릴 테니, 취업에 유리한 자격증을 취득해 보세요.
빅데이터분석기사, 응시자격 및 향후 전망
빅데이터분석기사란?
빅데이터분석기사는 대용량 데이터 집합에서 유용한 정보를 찾고 결과를 예측하는 전문가입니다.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다양한 분석 기법과 도구를 활용하여 가공하고, 통계적 모델링과 머신러닝을 적용하여 인사이트를 도출합니다.
빅데이터 분석 전문가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수요 대비 공급 부족으로 인력 확보에 어려움이 높은 실정입니다. 따라서, 빅데이터분석기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취업에 유리하며, 연봉 수준도 높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빅데이터분석기사 자격증이 억대 연봉으로 가는 첫 단계라고 생각합니다.
빅데이터 자격증의 종류와 순위
빅데이터 자격증은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국가기술 빅데이터 분석기사
- 국가공인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ADsP)
- 국가공인 데이터 분석 전문가 (ADP)
- 빅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격증으로는 국가공인 SQL 개발자가 있습니다.
공식적이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ADP > 빅데이터분석기사 > ADsP 순으로 인식됩니다.
각 자격증의 특징과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ADP: 빅데이터 분석의 전문가로서, 빅데이터 분석의 기획, 설계, 구축, 운영,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격증입니다.
- 시험 난이도는 가장 높으며, 합격률은 가장 낮습니다. 인정도와 활용도는 가장 높습니다. 준비 시간과 비용은 가장 많이 듭니다.
- 빅데이터분석기사: 빅데이터 분석의 실무자로서, 빅데이터 분석의 수행, 검증, 평가, 보고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격증입니다.
- 시험 난이도는 중간 정도이며, 합격률은 중간 정도입니다. 인정도와 활용도는 중간 정도입니다. 준비 시간과 비용은 중간 정도 듭니다.
- ADsP: 빅데이터 분석의 입문자로서, 빅데이터 분석의 기본 개념과 원리, 방법론, 도구 등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자격증입니다.
- 시험 난이도는 가장 낮으며, 합격률은 가장 높습니다. 인정도와 활용도는 가장 낮습니다. 준비 시간과 비용은 가장 적게 듭니다.
- 4년제 대학 졸업자 또는 졸업예정자
- 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필기시험을 면제받을 수 있지만, 실기시험은 응시)
- 3년제 전문대학 졸업자로 졸업 후 1년 이상 직장경력이 있는 사람
- 2년제 전문대학 졸업자로 2년 이상 직장경력이 있는 사람
- 기능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3년 이상 직장경력이 있는 사람
- 4년 이상 직무 분야 무관하게 직장경력이 있는 사람
- 과목 1: 빅데이터 이해와 분석 기획
- 과목 2: 빅데이터 탐색과 전처리
- 과목 3: 빅데이터 모델링과 분석
- 과목 4: 빅데이터 시각화와 활용
- 유형 1: 데이터 전처리 및 탐색
- 유형 2: 데이터 모델링 및 분석
- 유형 3: 데이터 분석 결과 검증 및 해석
빅데이터분석기사 응시자격
빅데이터분석기사는 '정보기술' 분야에 포함되는 자격증으로 전공 상관없이 응시가 가능합니다. 또한, 필기시험일 기준으로 최종 학년에 재학 중인 "졸업예정자"도 응시가 가능합니다.
시험과목과 합격기준
데이터진흥원에서 주관하고, 한 해에 두 번 시험을 실시합니다.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필기시험 합격자만 실기시험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필기시험은 다음과 같은 네 개의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과목별로 20문제씩 출제되며, 각 과목당 30분의 시험시간이 주어집니다. 각 과목별로 40점 이상을 얻고, 전 과목 평균 점수가 60점 이상이어야 합격입니다.
실기시험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의 문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유형별로 1문제씩 출제되며, 총 3시간의 시험시간이 주어집니다. 총점 100점 중 60점 이상을 얻어야 합격입니다.
빅데이터분석기사 시험은 매년 2회 정도 시행하는데, 자세한 시험일정은 [여기]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빅데이터분석기사 시험에 대한 자세한 정보, 가령, 시험과목과 시간, 문제 유형, 합격률, 과락 기준 등의 정보는 데이터자격검정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분석기사 시험 준비에 도움이 되는 자료나 강의도 많이 있으니, 웹 검색을 통해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시험 주관처
빅데이터분석기사 시험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 주관하고, Q-net에서 시행합니다. 시험장소는 서울, 인천, 춘천, 대전, 대구, 광주, 부산, 울산, 제주 등의 지역에 있습니다. 시험장소의 상세한 위치와 연락처는 원서접수 후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향후 전망
빅데이터는 산업과 사회의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지난 코로나19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빅데이터분석기사는 빅데이터의 가치와 의미를 실천적으로 전달하고, 빅데이터의 활용과 확장을 촉진하는 전문가입니다.
그렇지만 빅데이터분석기사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공급 부족으로 인력 확보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따라서, 빅데이터분석기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취업에 유리하며, 연봉 수준도 높으니 관심 있는 분은 도전해 보시기 바랍니다.
댓글